[ 사설 ] 파탄나는 무상복지, 이럴 줄 몰랐나
무상복지가 결국 여기저기서 파열음을 내고 있다.
서울시 구청장협의회는 어제 내년 무상보육과 기초연금 증액분에 들어가는 1182억원에 대해 예산을 편성하지 않겠다고 결의했다.
복지예산의 10~30%를 부담하는 구청들이 관련 예산 편성을 보이콧함에 따라 내년 무상복지는 대란이 예고돼 있는 상황이다.
“국고보조사업에 구비 부담금을 반영하면 사회기반 시설 유지관리비조차 확보할 수 없다”는 게 구청들의 주장이다.
무상보육 국비 지원율 인상(20%에서 40%로) 등을 요구했지만 관철되지 않아 어쩔 수 없다는 것이다.
무상복지에 두 손 든 건 구청들만이 아니다.
서울 등 일부 교육청들도 어린이집 무상보육 예산을 내년에 3개월분만 지원하겠다고 이달 초 밝혔다.
경상남도는 내년 무상급식 예산을 편성하지 않겠다고 공언했다.
이런 와중에 서울 경기 강원 전북 등 몇몇 교육청들은 지난 1년간 무상급식 예산을 늘리느라 외국어나 과학교육 등 순수 교육예산을 최대 90%까지 깎았다고 한다.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교육청 간 재원부담을 놓고 핑퐁을 치는 사이에 무상복지가 파탄을 향해 치닫고 있는 것이다.
사실 뻔히 예상됐던 결과다.
처음부터 지속가능성 없는 포퓰리즘의 남발이었다.
무상급식, 무상보육, 기초연금 지출은 올해 약 22조원, 2017년 30조원가량으로 늘지만 카드빚 돌려막기 식으로 겨우 버티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지방교부세와 교육재정교부금이 부족해 2015년도 예산에서 끌어 썼고 지자체들은 지방채 발행으로 겨우 돈을 마련하는 형국이다.
이렇게 된 데는 여야, 지자체, 교육청 모두가 책임이 있다. 결코 공짜일 수 없는 것을 마치 공짜인 것처럼 기만했던 것부터 문제였다.
이제 그 실상이 만천하에 드러나고 있다. 보편적 복지 아닌 선택적 복지, 서민 복지로의 대전환이 불가피하다.
http://m.hankyung.com/apps/news.view?aid=2014111477041
무상복지때문에 교육관련예산을 90퍼센트나 깎는게 말이되냐?
배우면 애국보수되니까 못배우게해서 좌좀 양성하려하나?
무상복지가 결국 여기저기서 파열음을 내고 있다. 서울시 구청장협의회는 어제 내년 무상보육과 기초연금 증액분에 들어가는 1182억원에 대해 예산을 편성하지 않겠다고 결의했다.
복지예산의 10~30%를 부담하는 구청들이 관련 예산 편성을 보이콧함에 따라 내년 무상복지는 대란이 예고돼 있는 상황이다.
“국고보조사업에 구비 부담금을 반영하면 사회기반 시설 유지관리비조차 확보할 수 없다”는 게 구청들의 주장이다.
무상보육 국비 지원율 인상(20%에서 40%로) 등을 요구했지만 관철되지 않아 어쩔 수 없다는 것이다.
무상복지에 두 손 든 건 구청들만이 아니다.
서울 등 일부 교육청들도 어린이집 무상보육 예산을 내년에 3개월분만 지원하겠다고 이달 초 밝혔다.
경상남도는 내년 무상급식 예산을 편성하지 않겠다고 공언했다.
이런 와중에 서울 경기 강원 전북 등 몇몇 교육청들은 지난 1년간 무상급식 예산을 늘리느라 외국어나 과학교육 등 순수 교육예산을 최대 90%까지 깎았다고 한다.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교육청 간 재원부담을 놓고 핑퐁을 치는 사이에 무상복지가 파탄을 향해 치닫고 있는 것이다.
사실 뻔히 예상됐던 결과다.
처음부터 지속가능성 없는 포퓰리즘의 남발이었다.
무상급식, 무상보육, 기초연금 지출은 올해 약 22조원, 2017년 30조원가량으로 늘지만 카드빚 돌려막기 식으로 겨우 버티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지방교부세와 교육재정교부금이 부족해 2015년도 예산에서 끌어 썼고 지자체들은 지방채 발행으로 겨우 돈을 마련하는 형국이다.
이렇게 된 데는 여야, 지자체, 교육청 모두가 책임이 있다. 결코 공짜일 수 없는 것을 마치 공짜인 것처럼 기만했던 것부터 문제였다.
이제 그 실상이 만천하에 드러나고 있다. 보편적 복지 아닌 선택적 복지, 서민 복지로의 대전환이 불가피하다.
http://m.hankyung.com/apps/news.view?aid=2014111477041
무상복지때문에 교육관련예산을 90퍼센트나 깎는게 말이되냐?
배우면 애국보수되니까 못배우게해서 좌좀 양성하려하나?
어린영주에이스

댓글 없음:
댓글 쓰기